조선의 글 쓰는 여자들 Women Writing in Joseon; Naebang Gasa

€32.00

ISBN 9791187332954

Language Korean

N. of Pages 240쪽

Size/Weight 128 * 188 * 21 mm / 369 g

Author/Editor 서주연, 정기선

Publisher 사우

Date of Publication 2023년 11월 30일

Country of Origin Korea

Quantity:
GET IT DELIVERED WHEN IN STOCK

ISBN 9791187332954

Language Korean

N. of Pages 240쪽

Size/Weight 128 * 188 * 21 mm / 369 g

Author/Editor 서주연, 정기선

Publisher 사우

Date of Publication 2023년 11월 30일

Country of Origin Korea

ISBN 9791187332954

Language Korean

N. of Pages 240쪽

Size/Weight 128 * 188 * 21 mm / 369 g

Author/Editor 서주연, 정기선

Publisher 사우

Date of Publication 2023년 11월 30일

Country of Origin Korea

<KR>
안방에 갇힌 조선시대 여성들의 생생한 일상

세계사에서 드문 전근대 여성들의 글쓰기와 문학

규방가사(혹은 내방가사)는 조선 후기 여성들이 쓴 한글 문학을 말한다. 당시 여성의 역할은 오로지 길쌈과 바느질 같은 집안일에 힘쓰고 시부모를 봉양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당대의 사회적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글을 쓰고 읽는 여성들이 있었다.

여성들은 자신의 삶과 생각을 4음보 운율에 담긴 가사에 담담하게 풀어냈다. 가사를 지어 시집가는 딸에게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기도 하고, 자신의 고통스러운 사연을 풀어내기도 하고, 마음 아픈 이를 위로하기도 했다. 규방가사는 화려하지는 않지만 생생하고 솔직했다. 여성들은 공감하는 가사를 베껴 쓰거나 고쳐 쓰면서 널리 퍼뜨렸다. 꾸밈없고 진솔하게 자신의 삶을 기록하고 성찰한 규방가사 덕분에 우리는 전근대 시기 여성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그들의 기쁨과 슬픔, 꿈과 좌절은 무엇인지 생생하게 알 수 있게 되었다.

근대 이전에 여성이 주체가 되어 문학을 발전시킨 사례는 세계사에서도 매우 드물다. 이러한 이유로 규방가사는 2022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 목록에 등재되었다.

저자들은 규방가사를 발굴하고, 그 가치를 알리는 데 오랜 시간 매진한 연구자들이다. 이 책은 그동안 연구실과 학술서로만 존재하던 규방가사를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풀어 쓴 최초의 교양서이다. 저자들은 분야별로 대표적인 작품을 소개하면서 그 작품이 나오게 된 배경과 의미를 상세하게 들려준다. 덕분에 그동안 지워졌던 우리나라 전근대 시기 여성의 생활사와 문화사가 복원되었다.


<ENG>
The Daily Life of Women in the Joseon Dynasty Trapped in the Home Room

the writing and literature of pre-modern women rare in world history

Gyubangga (or Naebangga) refers to Korean literature written by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women's role was only to strive for housework such as weaving and sewing, and to provide for their parents-in-law. However, despite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some women wrote and read.

Women calmly expressed their lives and thoughts in the lyrics of the four-tone rhyme. They wrote lyrics to express their love to their daughter who was getting married, and they also talked about their painful story and comforted those who were heartbroken. Gyubang's lyrics were not flashy but vivid and honest. Women copied or rewritten the lyrics that they sympathized with and spread them widely. Gyubang's lyrics, which were written and reflected on their lives in an unadorned and sincere manner, enabled us to vividly know how women lived in the pre-modern period, and what their joys and sorrows, dreams and frustrations were.

It is very rare in world history that women developed literature as subjects before modern times. For this reason, Gyubangasa was list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Asia-Pacific in 2022.

The authors are researchers who have devoted a long time to discovering Gyubangga and promoting its value. This book is the first liberal arts book to write Gyubangga, which has existed only in research labs and academic books, at the public's level. The authors introduce representative works by field and tell them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work in detail. Thanks to this, the life and cultural history of women in the pre-modern period of Korea, which had been erased, were restored.


<FR>
La vie quotidienne des femmes de la dynastie Joseon piégées dans la salle d'accueil

l'écriture et la littérature de femmes pré-modernes rares dans l'histoire mondiale

Gyubangga (ou Naebangga) fait référence à la littérature coréenne écrite par des femmes de la fin de la dynastie Joseon. À l'époque, le rôle des femmes n'était que de s'efforcer de faire le ménage, comme le tissage et la couture, et de subvenir aux besoins de leurs beaux-parents. Cependant, malgré l'atmosphère sociale de l'époque, certaines femmes écrivaient et lisaient.

Les femmes expriment calmement leur vie et leurs pensées dans les paroles de la rime en quatre tons. Ils écrivaient des paroles pour exprimer leur amour à leur fille qui allait se marier, et ils parlaient aussi de leur histoire douloureuse et réconfortaient ceux qui avaient le cœur brisé. Les paroles de Gyubang n'étaient pas flashy mais vives et honnêtes. Les femmes copiaient ou réécrivaient les paroles qu'elles compatissaient et les diffusaient largement. Les paroles de Gyubang, écrites et réfléchies sur leur vie d'une manière inavouée et sincère, nous ont permis de connaître de façon éclatante comment les femmes vivaient à l'époque pré-moderne, et quelles étaient leurs joies, leurs peines, leurs rêves et leurs frustrations.

Il est très rare dans l'histoire mondiale que les femmes développent la littérature comme sujets avant les temps modernes. C'est pourquoi Gyubangasa a été inscrit sur la Liste du patrimoine mondial de l'UNESCO en Asie-Pacifique en 2022.

Les auteurs sont des chercheurs qui ont consacré beaucoup de temps à la découverte de Gyubangga et à la promotion de sa valeur. Ce livre est le premier livre d'art libéral à écrire Gyubangga, qui n'existe que dans les laboratoires de recherche et les livres universitaires, au niveau du public. Les auteurs présentent des œuvres représentatives par domaine et leur expliquent en détail le contexte et la signification de l'œuvre. Grâce à cela, la vie et l'histoire culturelle des femmes dans la période pré-moderne de la Corée, effacées, ont été restaurées.


목차

들어가는 글_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1부 귀한 딸을 위한 노래

귀하디귀한 우리 여아

글 배우는 귀녀

죽고 없는 아내를 대신하여, 아버지가 딸에게

그리운 아내, 남겨진 딸자식

딸에게 주는 경계의 말

아버지가 널 키울 적에

시집간 딸을 그리워하며

귀녀에서 부녀로의 꿈과 욕망

파혼을 권하는 오빠, 파혼을 거부하는 부녀

부녀, 부자가 되기로 결심하다

2부 세상 밖으로

변화를 마주한 여성들

가사, 구여성의 목소리를 세상으로

시골 여자는 무엇이 그리 서러웠을까

남편의 사랑을 갈구하는 여성 주체의 등장

시골 여성의 억울함은 여성 모두의 문제

신문물에 대한 구여성의 냉소

신여성, 가사로 근대 서울을 묘사하다

근대의 낯선 풍경, 그저 바라보고 기록할 뿐

3부 독립을 위한 열망은 남자와 다르지 않다

독립을 위해 이주하는 여성들

만주로 가는 길, 고생길의 시작

가족의 정으로 고단한 삶을 견디며

독립에 대한 여성들의 열망

4부 우리들의 연대, 여성으로 산다는 것은

인생의 전환점, 여성들의 시집가기

시댁을 바라보는 여성들의 시선

여성을 위로하는 여성들

시집살이에 대한 여성들끼리의 공감

여성의 존재감, 시댁의 일원 되기

눈 오는 날 봄바람 같은 친정 나들이

노래 지어 위로받고

노래로 대신한 바깥나들이

코리아 에센셜 시리즈 12 한국 건축 Korea Essentials 12) Korean Architecture
€19.00
(AKS 사회총서 6) 한국의 민족주의와 탈민족주의 (AKS Social Affairs #6) Korean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33.00
한글 대표 선수 10+9 Korean Hangeul Representative Players 10+9
€23.00
일상 속에서 진짜 자주 등장하는 한국 옛날이야기 Korean Folktales in Everyday Conversation
€37.00
Five Hundred Arhats of Changnyeongsa Temple Site
€1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