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어휘 교육론 2판 Korean Vocabulary Education Theory (2nd Edition)
ISBN 9791166850899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76 * 251 * 21 mm / 693 g
Author/Editor 이선웅, 이정화, 서경숙
Publisher Hangook Munhwasa
Date of Publication 2022년 04월 30일
Country of Origin Korea
ISBN 9791166850899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76 * 251 * 21 mm / 693 g
Author/Editor 이선웅, 이정화, 서경숙
Publisher Hangook Munhwasa
Date of Publication 2022년 04월 30일
Country of Origin Korea
ISBN 9791166850899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76 * 251 * 21 mm / 693 g
Author/Editor 이선웅, 이정화, 서경숙
Publisher Hangook Munhwasa
Date of Publication 2022년 04월 30일
Country of Origin Korea
<KR>
어휘 교수·학습이 중요한 이유는 첫째, 어휘가 의사소통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법적 요소를 발음하는 것만으로는 의사소통을 할 수 없다.
문법만으로는 자신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조작할 어떠한 힘도 없으므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세심한 어휘 선택이 그만큼 중요하다.
둘째, 어휘력은 언어 기능에 상승 효과를 주므로 어휘 교육이 중요하다.
우리가 어떤 새로운 외국어를 학습할 때 필수적으로 새로운 어휘를 익혀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어휘력이 향상되면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단어를 통해 텍스트에 등장하는 친숙하지 않은 어휘도 추론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지적인 부담도 그만큼 감소한다.
마지막으로, 어휘 교육은 문법 교육이나 문화 교육 등의 언어 지식 교육에도 부수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드러내는 어휘의 습득은 외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문화 교육과도 관련된다.
<ENG>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are important because, first, vocabulary plays the most important function in communication.
You can't communicate just by pronouncing grammatical elements.
Since grammar alone does not have the power to manipulate the meaning you are trying to convey, careful vocabulary selection is just as important to facilitate communication. Second, vocabulary education is important because vocabulary has a synergistic effect on language function.
It is natural that when we learn a new foreign language, we must learn a new vocabulary.
When vocabulary is improved, the cognitive burden is also reduced by being able to infer and understand unfamiliar vocabulary appearing in the text through words you already know.
Finally, vocabulary education can have a side effect on language knowledge education such as grammar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that reveals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is also related to cultural education in that it can enhance foreign learners'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FR>
L'enseignement et l'apprentissage du vocabulaire sont importants parce que, tout d'abord, le vocabulaire joue la fonction la plus importante dans la communication.
On ne peut communiquer qu'en prononçant des éléments grammaticaux.
Puisque la grammaire seule n'a pas le pouvoir de manipuler le sens que vous essayez de donner, il est tout aussi important de choisir soigneusement le vocabulaire pour faciliter la communication. Deuxièmement, l'enseignement du vocabulaire est important parce que le vocabulaire a un effet synergique sur la fonction linguistique.
Il est naturel que lorsque nous apprenons une nouvelle langue étrangère, nous devons apprendre un nouveau vocabulaire.
Lorsque le vocabulaire est amélioré, le fardeau cognitif est également réduit en étant capable de déduire et de comprendre un vocabulaire inconnu apparaissant dans le texte à l'aide de mots que vous connaissez déjà.
Enfin, l'enseignement du vocabulaire peut avoir un effet secondaire sur l'enseignement des connaissances linguistiques, comme la grammaire et l'éducation culturelle.
En outre, l'acquisition d'un vocabulaire qui révèle les caractéristiques culturelles coréennes est également liée à l'éducation culturelle en ce sens qu'elle peut aider les apprenants étrangers à mieux comprendre la culture coréenne.
- 본문 중에서
제2판 머리말
제1판 머리말
Ⅰ 어휘 및 어휘 교육 이론의 기초
1. 어휘 및 외국어 어휘 교수·학습의 중요성
2. 어휘장과 어휘망
3. 어휘력
4. 어휘의 종류
4.1. 이해 어휘와 표현 어휘
4.2. 기초 어휘와 기본 어휘
4.3. 교수·학습 목적별 어휘
4.4. 사고 도구어
5. 어휘의 의미
5.1. 다의어
5.1.1. 중심 의미와 확장 의미
5.1.2. 다의어의 개념
5.1.3. 다의어의 발생 원인
5.2. 어휘 간의 관계
5.2.1. 동음 관계
5.2.2. 유의 관계
5.2.3. 반의 관계
5.2.4. 상하 관계
5.2.5. 전체·부분 관계
5.3. 어휘의 의미 성분 분석
5.3.1. 의미 성분 분석의 개념
5.3.2. 의미 성분 분석의 응용과 한계
Ⅱ 한국어의 어휘
1. 어종에 따른 어휘 유형
1.1. 고유어
1.2. 한자어
1.3. 외래어
1.4. 혼종어
2. 언어 형식에 따른 어휘 유형
2.1. 단어
2.2. 연어
2.3. 관용 표현
2.4. 속담 및 격언
3. 어휘의 변이
3.1. 지역적 변이
3.2. 사회적 변이
3.2.1. 사용 집단에 따른 변이
3.2.2. 사용역에 따른 변이
3.2.3. 사용 목적에 따른 변이
3.2.4. 언어 정책에 따른 변이
4. 준말, 혼성어, 신어
4.1. 준말
4.2. 혼성어
4.3. 신어
Ⅲ 한국어 어휘 교수·학습의 원리와 방법
1. 어휘 교육의 목표와 내용
1.1. 어휘 교육의 목표
1.2. 교수법과 어휘 교육의 변천
1.3. 어휘 교육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1.4. 교육용 어휘의 선정
2. 어휘 교수의 원리와 어휘 학습의 전략
2.1. 어휘 교수의 원리
2.1.1. 대조 언어학적 관점 고려
2.1.2. 어휘 문법(lexical grammar) 층위 고려
2.1.3. 선택적 교수
2.1.4. 문화 교육
2.1.5. 주제, 기능과 연계한 교육
2.1.6. 과정적 교수
2.2. 어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1. 어휘 내적 요인
2.2.2. 언어 간 요인
2.2.3. 학습자 요인
2.2.4. 교수·학습 요인
2.3. 어휘 학습 전략
2.3.1. 어휘 학습 과정에서의 전략
2.3.2. 어휘 사용 과정에서의 전략
3. 어휘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
3.1. 어휘 수업의 절차
3.1.1. 수업 전: 어휘 교수안 작성
3.1.2. 수업 중: 어휘 제시와 어휘 연습
3.1.3. 수업 후: 어휘 사용
3.2. 수준별 교수·학습법
3.2.1. 초급에서의 어휘 교육
3.2.2. 중급에서의 어휘 교육
3.2.3. 고급에서의 어휘 교육
3.2.4. 학술 어휘 교육
3.3. 기능 교육과 어휘 교육
3.3.1. 듣기 교육과 어휘 교수·학습
3.3.2. 말하기 교육과 어휘 교수·학습
3.3.3. 읽기 교육과 어휘 교수·학습
3.3.4. 쓰기 교육과 어휘 교수·학습
3.4. 사전을 활용한 교수·학습법
3.4.1. 유용한 사전
3.4.2. 사전을 이용한 활동
3.5. 말뭉치를 활용한 어휘 교수·학습
3.5.1. 유용한 말뭉치
3.5.2. 말뭉치를 이용한 활동
Ⅳ 어휘 평가
1. 평가의 개념과 기능
1.1. 평가의 개념
1.2. 평가의 기능
1.3. 평가의 변천
2. 평가의 요건
2.1. 타당도
2.1.1. 안면 타당도
2.1.2. 내용 타당도
2.1.3. 구인 타당도
2.1.4. 준거 타당도
2.2. 신뢰도
2.2.1. 시험 신뢰도
2.2.2. 채점자 신뢰도
2.3. 실용도
2.4. 파급 효과
3. 어휘 평가의 목적
3.1. 배치 평가
3.2. 진단 평가
3.3. 숙달도 평가
3.4. 성취도 평가
4. 어휘 평가 도구의 개발
4.1. 어휘 평가의 목표와 기준
4.2. 문항 개발의 실제
4.2.1. 문항의 개발 순서
4.2.2. 문항 개발의 실례
4.3. 어휘의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4.3.1. 어휘의 양적 평가
4.3.2. 어휘의 질적 평가
5. 한국어능력시험의 어휘 평가
5.1. 급수별 어휘 평가 기준
5.2. 어휘 평가 문항의 분석
5.2.1. 개편 전 평가 문항
5.2.2. 개편 후 평가 문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