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S 고전자료총서 25) 검안과 근대 한국사회 Ophthalmology and Modern Korean Society
ISBN 9791158664411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52 * 223 * 25 mm / 534 g
Author/Editor AKS 고전자료총서 25 심재우 , 전경목 , 박소현 , 김호
Publisher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AKS)
Date of Publication 2018년 12월 17일
Country of Origin Korea
ISBN 9791158664411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52 * 223 * 25 mm / 534 g
Author/Editor AKS 고전자료총서 25 심재우 , 전경목 , 박소현 , 김호
Publisher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AKS)
Date of Publication 2018년 12월 17일
Country of Origin Korea
ISBN 9791158664411
Language Korean
N. of Pages 320쪽
Size/Weight 152 * 223 * 25 mm / 534 g
Author/Editor AKS 고전자료총서 25 심재우 , 전경목 , 박소현 , 김호
Publisher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AKS)
Date of Publication 2018년 12월 17일
Country of Origin Korea
<KR>
검안은 살인, 자살 등과 같은 사건이 발생한 경우 수령이 시신을 검시하고, 사건을 수사하여 관련 내용을 관찰사에게 보고하는 문서로, 20세기 전후인 대한제국기에 집중되어 있다. 검안은 인명 사건을 둘러싼 향촌 사회의 여러 갈등, 백성들의 생활상과 법 관념, 사법제도 운영 모습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다. 이 책은 먼저 산송(山訟), 도박, 여성 문제, 동학(東學) 관련 사건 등을 대표하는 유형의 검안 4종을 선별하여 번역하였다. 선별된 검안은 「충청도 청안군 서면 만수동 치사남인 이면하 검안」, 「충청도 공주군 의랑면 대평리 치사남인 이판용 문안」, 「강원도 회양군 장양면 상신원리 일경동 치사여인 문조이 초검안」, 「전라도 광양군 봉강면 강변촌 치사남인 이학조 시체 복검안」이다. 이 4건의 검안을 중심으로 민중의 이야기, 이중으로 억압받던 하층 여성의 목소리, 정의로운 폭력과 그 한계 등을 이야기하면서 한말 근대화 과정에서 전통적 가치의 혼란과 충돌, 갈등 양상 등을 담아냈다.
<ENG>
In the event of an incident such as murder or suicide, the head of the state examines the body, investigates the incident, and reports the relevant information to the observer, and is concentrated during the Korean Empire around the 20th century. The optometry is a data that confirms various conflicts in the Hyangchon society over human cases, the lives and legal concepts of the people, and the operation of the judicial system. This book was first translated by selecting four types of optometry representing mountain 訟, gambling, women's issues, and Donghak-related cases. The selected optometry is "Eyebyeonha Geoman, a lethal man in Mansu-dong, Cheongan-gun, Chungcheong-do," "Ebyeonpanyongmun, a lethal man in Daepyeong-ri, Uirang-myeon, Gongju-gun, Chungcheong-do," "Ebyeon Munjo, a lethal woman in Sangsin-ri, Jangyang-myeon, Gangwon-do," and "Ebokmun, a corpse of Lee Hak-jo, a lethal man in a riverside village in Bonggang-myeon, Gwangyang-gun, Jeolla-do." Focusing on these four optometry cases, the stories of the people, the voices of low-ranking women who were doubly suppressed, righteous violence, and its limitations were captured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including confusion, conflict, and conflict of traditional values.
<FR>
En cas d'incident comme un meurtre ou un suicide, le chef de l'État examine le corps, enquête sur l'incident et signale les informations pertinentes à l'observateur, et se concentre pendant l'Empire coréen vers le 20e siècle. L'optométrie est une donnée qui confirme divers conflits dans la société Hyangchon concernant les affaires humaines, la vie et les concepts juridiques du peuple et le fonctionnement du système judiciaire. Cet ouvrage a d'abord été traduit par la sélection de quatre types d'optométrie représentant les 訟 de montagne, les jeux d'argent, les questions féminines et les cas liés à Donghak. L'optométrie choisie est "Eyebyeonha Geoman, un homme mortel à Mansu-dong, Cheongan-gun, Chungyeong-do", "Ebyeonpanyongmun, un homme mortel à Daepyeong-ri, Uirang-myeon, Kyeong-gun-do", "Ebyeon Munjo", "Ebyeon Munjo, une femme mortelle à Sangsin-ri", "Jangyangyangmyeong", et "Gangmyeong, Gangwangwon" et "Ebokmun" un homme mortel dans un village riverain à Bonggang-myeon, Gangangang-gun, Jeololdo." En se concentrant sur ces quatre cas d'optométrie, les histoires de la population, les voix de femmes de bas rang doublement réprimées, la violence juste et ses limites ont été prises en compte dans le processus de modernisation, y compris la confusion, les conflits et les conflits de valeurs traditionnelles.
목차
책머리에
검안에 나타난 조선말기의 산송 _심재우
1. 머리말
2. 조선후기 산송 처리의 문제점과 형사 분쟁으로의 확대
3. 한말 산송 관련 검안의 유형과 내용
4. 1897년 충청도 청안군 자살사건의 재구성
5. 맺음말
부록_ 충청도 청안군 서면 만수동 치사남인 이면하 검안
고문서와 검안에 나타난 조선말기 노름의 실상 _전경목
1. 머리말
2. 노름과 범죄
3. 노름 관련 검안 분석
4. 맺음말
부록_ 충청도 공주군 의랑면 대평리 치사남인 이판용 문안
검안을 통해 본 여성과 사회 _박소현
1. 머리말
2. 여성사적 관점에서 본 검안
3. 여성과 폭력: 회양군 장양면 검안의 내용과 분석
4. 맺음말
부록_ 강원도 회양군 장양면 상신원리 일경동 치사여인 문조이 초검안
1897년 광양군 이학조 검안을 통해 본 동학농민운동의 이면 _김호
1. 머리말
2. 1894년 광양 및 순천의 접주 김인배와 유하덕
3. 1894년 10월 이후 광양 및 순천 농민군에 대한 정부 및 민포군의 협공
4. 계룡산 개국사건과 유수덕
5. 조윤태의 복수와 ‘의로운 폭력’의 한계
6. 맺음말
부록_ 전라도 광양군 봉강면 강변촌 치사남인 이학조 시체 복검안